5월 종합소득세 신고 또는 연말정산 후 지방세를 납부하게 되었을 경우, 납부한 지방세들에 대해 과세 증명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지방세 세목별로 과세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서 소개하려 합니다.

이 글에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무엇인가?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전,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는 지방세를 납부하였을 경우 발급받을 수 있는 서류입니다.

우리가 지방세를 납부할 때는 보통 금액만 보고 납부를 합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는 납부한 지방세가 어느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세부적인 항목들을 확인하고 납세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서류입니다.

지방세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주민에게 부과하는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징수하는 세금입니다. 보통 주민세, 취득세, 지방교육세, 자동차세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은 아래를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2.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은 정부24를 통해 온라인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후 오른쪽 상단의 돋보기를 누르고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검색합니다.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서-검색

② 검색 결과에서 세목별과세증명(서울) 또는 세목별과세증명(서울외) 중 해당하는 항목의 발급하기를 눌러줍니다.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서울외 증명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서울-서울외-발급하기

③ 신청내용에 개인정보(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표기방법, 주소 등)를 입력하고 과세자치단체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그리고 조회를 원하는 과세년도와 사용목적을 입력해주고 과세목록조회를 눌러줍니다.

개인정보-입력

과세자치단체가 서울이 아닌 경우 앞선 순서에서 서울외 증명서를 발급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④ 조회된 과세내역 목록에서 출력을 원하는 과세대상 항목을 선택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과세내역-목록-선택

⑤ 수령방법에서 온라인발급(본인출력)을 선택한 후 민원신청하기를 눌러줍니다.

수령방법-온라인발급

⑥ 서비스 신청내역에서 문서출력 버튼을 누르고 인쇄 버튼을 눌러 PDF로 저장한 후 출력 또는 파일 전송을 통해 제출하시면 됩니다.

서비스-신청내역-문서출력PDF-저장

서비스 신청내역이 보이지 않으시면 MyGOV > 나의 신청내역 > 서비스 신청내역 메뉴를 통해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3. 마치며

지금까지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받고 내가 낸 지방세가 어떤 항목들로 구성되었는지 아는 것은 필요한 기관에 제출할 때 뿐만 아니라 지방세를 줄이기 위해서 내가 가진 재산 중 어떤 것을 줄여야 하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받아 내 지방세의 구성을 살펴보시고 재무계획 등에도 반영해보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